아래를 읽어보시면 전세·월세 계약에서 자주 발생하는 중도해지 이슈와 파기 위약금을 피하는 핵심 체크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등기부등본 확인부터 확정일자, 전입신고, 계약서 세부사항까지 안전한 거래를 위한 실전 팁을 담았습니다.
목차
- 등기부등본과 권리관계 확인
- 등기부 등재 내용 확인 포인트
- 잔금·등기 말소의 특약 구성
- 계약 상대방의 신분과 계약자 확인
- 신분·대리인 확인 절차
- 진위 여부 확인 방법
- 계약서 구성과 특약 체크
- 핵심 조항 점검 포인트
- 수정 시기와 기록 방법
- 집 상태 점검과 인수조건
- 점검 체크리스트
- 인도 시 합의 내용
-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보증금 관리
- 확정일자 절차와 효과
- 전입신고의 절차와 시점
- 보증금 반환 관리 포인트
- 자주 묻는 질문 (FAQ)
- 전월세 중도해지 시 임대인이 부담하는 비용은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 확정일자 없이도 계약이 가능하나요?
- 등기부등본은 어디서 발급받나요?
- 계약서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 함께보면 좋은글!
등기부등본과 권리관계 확인
등기부 등재 내용 확인 포인트
- 소유자 명의와 근저당권, 가압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불리한 권리가 있으면 계약 보류 또는 특약 추가가 필요합니다.
잔금·등기 말소의 특약 구성
- 계약 시 잔금 시점에 기존 권리 등을 말소하는 조항을 넣고, 안전한 비율(아파트 70%, 다세대 60% 이하)을 참고합니다.
HTML 표 예시
주의점 | 참고 | |
---|---|---|
근저당 | 잉여 담보권 여부 확인 | 잔금 시점 말소 여부 명시 |
가압류 | 임차권 등에 영향 없는지 점검 | 계약서에 특약 추가 |
계약 상대방의 신분과 계약자 확인
신분·대리인 확인 절차
- 등기부와 계약자 신분증을 대조하고, 대리인인 경우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확인합니다.
진위 여부 확인 방법
- 주민등록증의 진위를 확인하고, 본인과의 대조를 통해 신뢰성을 높입니다.
계약서 구성과 특약 체크
핵심 조항 점검 포인트
- 보증금, 월세, 임대기간, 해약조건, 위약금, 인수일정, 수리 부담 등을 반드시 기재합니다.
수정 시기와 기록 방법
- 수정이 필요한 경우 두 줄을 긋고 수정 내용을 날인해 공식 원본에 반영합니다. 원본 보관은 필수입니다.
집 상태 점검과 인수조건
점검 체크리스트
- 수돗물·배수, 누수, 난방, 곰팡이 여부, 채광, 소음 등을 사전에 점검합니다.
인도 시 합의 내용
- 가전·가구 인도 여부, 설치 상태, 청소비 부담 주체를 계약서에 반영합니다.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보증금 관리
확정일자 절차와 효과
- 동사무소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확정일자를 신청해 임대보증금 우선권을 확보합니다.
전입신고의 절차와 시점
- 이사 당일 전입신고를 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관할 동사무소나 정부24로 신청합니다.
보증금 반환 관리 포인트
- 해지 시점의 반환일정과 이자 여부, 보증금 공제 항목을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합니다.
자주 발생하는 이슈 요약
– 전월세계약은 임차인의 일방적 해지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임대인 동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중도해지 시 임대인이 새 임차인을 구하는 경우 중개수수료 부담 주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파기 위약금은 계약 조건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계약서에 위약금 비율과 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자주 묻는 질문 (FAQ)
전월세 중도해지 시 임대인이 부담하는 비용은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임차인 해지 의사 표시에 따라 남은 기간의 임대차를 새 임차인이 채우면 중개수수료 부담이 임대인으로 넘어가기도 합니다.
확정일자 없이도 계약이 가능하나요?
가능하나 보통 확정일자를 받으면 보증금 반환권이 강해져 권리 보호가 쉬워집니다.
등기부등본은 어디서 발급받나요?
인터넷 등기소나 가까운 법원 등기소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서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보증금/월세, 임대기간, 인도시기, 해약조건, 위약금, 수리책임, 인도물품 여부 등이 필수 기재사항입니다.
핵심 메시지
– 등기·권리관계부터 계약서의 핵심 조항, 인도·확정일자까지 하나하나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안전한 거래의 핵심입니다. 필요 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계약서를 점검하는 것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