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화 <인턴>이 많은 사랑을 받으며 리메이크 소식까지 전해졌습니다. 이 영화는 노후에도 활발하게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많은 어르신들이 퇴직 후 새로운 도전을 꿈꾸고 있는 만큼, 오늘은 은퇴 후 재취업을 원하는 어르신들을 위해 다양한 노인 일자리의 종류와 신청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르신을 위한 일자리 종류
공공형 일자리
공공형 일자리는 노인이 취약계층 지원과 지역사회의 공익을 위해 참여하는 봉사 성격의 활동입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운영되며, 활동비를 받으면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노노케어: 노인이 다른 노인을 돌보는 활동
– 취약계층 지원: 장애인, 다문화 가정 등
– 지역 환경 정화 및 안내 도우미
참여 대상: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및 직역연금 수급자
활동 기간: 평균 11개월, 월 30시간 이상
활동비: 월 29만 원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어르신들의 경력과 경험을 활용한 돌봄 및 공공서비스 지원 활동입니다. 대부분 일정 교육 과정을 수료하면 참여할 수 있으며, 사회적 가치를 느낄 수 있습니다.
예시:
– 교육시설 학습보조 지원
– 장애인 서비스 지원
– 공공기관 행정업무 지원
참여 대상: 65세 이상 사업 참여 가능자
활동 기간: 10개월, 월 60시간
활동비: 월 76만 원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
공동체사업단
공동체사업단은 노인들이 참여하여 상품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일자리입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 운영됩니다.
예시:
– 식품 제조 및 판매
– 실버 카페 운영
– 농산물 경작 및 판매
참여 대상: 60세 이상 사업 특성 적합자
활동 기간: 계약서에 따름, 최대 8시간 근무
활동비: 연간 267만 원 지원
취업 지원 및 시니어인턴십
취업 지원
취업 지원은 60세 이상의 고령자를 민간기업 등에 알선하는 형태로, 다양한 직무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예시:
– 경비원, 청소, 사무보조 등
참여 대상: 60세 이상 사업 특성 적합자
근무 기간과 급여: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
시니어인턴십
시니어인턴십은 60세 이상의 어르신들이 기업에 인턴으로 참여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예시:
– 식당 조리원, 고객 응대 등
참여 대상: 60세 이상, 교육 이수자
근무 기간과 급여: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
고령자친화기업
고령자친화기업은 60세 이상 다수의 노인을 고용한 기업을 지정하여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하며, 다양한 지원 혜택이 주어집니다.
지원 혜택:
– 자금지원 및 근무환경 개선 비용 지원
– 기업 생산품 판로 지원
노인일자리 신청 방법
노인일자리 공고는 지역의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의 홈페이지나 기관을 방문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을 통해 조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신청 방법:
1. 일자리 모집 공고 확인
2. 수행기관 또는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서 제출
3. 상담 및 면접 진행 후 참여자로 선발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노인일자리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노인일자리 공고를 확인한 후, 수행기관이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참여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질문2: 공공형 일자리의 활동비는 얼마인가요?
공공형 일자리의 활동비는 월 29만 원입니다.
질문3: 사회서비스형 일자리의 참여 대상은 누구인가요?
65세 이상의 사업 참여 가능자가 사회서비스형 일자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질문4: 공동체사업단의 활동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공동체사업단의 활동 기간은 계약서에 명시된 시간에 따릅니다.
질문5: 시니어인턴십의 참여 조건은 무엇인가요?
60세 이상이며, 교육 과정을 이수한 자가 시니어인턴십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질문6: 고령자친화기업이란 무엇인가요?
고령자친화기업은 60세 이상 다수의 노인을 고용한 기업으로,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하여 다양한 지원을 받습니다.
어르신들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일자리 기회가 확대되기를 바랍니다.
이전 글: 후판 가격 협상 난항과 원 환율 급등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