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를 읽어보시면 1차·2차 신청 기간과 수령 방식, 대상별 금액 구성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신청 대상과 지급 구조
- 1차 대상은 전 국민으로 시작되며, 기본 금액에 지역별 추가가 더해집니다.
- 기본 지급: 15만 원
- 비수도권 거주자 추가: 3만 원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거주자 추가: 5만 원
- 차상위계층·한부모가정: 30만 원 + 지역 추가
- 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 지역 추가
- 2차 대상은 소득 하위 90% 중 1차를 받은 모든 이가 포함되며, 2차 추가로 10만 원이 더 지급됩니다. 2차도 별도 신청이 필요합니다.
- 1차를 받은 이 중 추가로 10만 원 지급
- 2차 신청은 1차와 별개로 진행되며, 1차 신청자도 재신청 필요 여부가 있습니다.
신청 기간과 방법
- 1차 신청 기간: 2025년 7월 21일(월) ~ 9월 12일(금)
- 2차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월) ~ 10월 31일(금)
- 신청 후 다음 날 수령이 원칙이며, 온라인으로 신청한 경우 해당 수단에 자동 충전됩니다.
- 카드/앱 신청: 신청 다음 날 충전
- 찾아가는 방식: 현장 수령 또는 일정에 따른 방문 수령 가능
- 신청 첫 주(7/21~7/25)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요일제가 적용되며, 7월 26일부터는 누구나 신청 가능
지급 방식과 수령 시나리오
- 온라인(신용·체크카드사 앱/홈페이지, 간편결제 앱, 지역화폐 앱)으로 신청하면 다음 날 충전이 이뤄집니다.
- 예시: 7/21 신청 → 7/22 충전
- 현장 방식은 주민센터에서 선불카드나 지류형 상품권으로 즉시 지급되거나, 지역에 따라 예약 수령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미신청 시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며, 1차와 2차 모두 별도 신청이 필요합니다.
HTML 표로 확인: 지급 방식과 수령 방식 요약
구분 | 1차 기본 | 지역 추가 | 2차 추가 | 총 수령액 |
---|---|---|---|---|
수도권 일반 국민 | 15만 원 | 0원 | 10만 원 | 25만 원 |
비수도권 일반 국민 | 15만 원 | 3만 원 | 10만 원 | 28만 원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국민 | 15만 원 | 5만 원 | 10만 원 | 30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 농어촌 거주자 | 40만 원 | 5만 원 | 10만 원 | 55만 원 |
수령 금액의 실제 구성과 한도
- 1차 기본 금액은 모든 대상군의 출발선이며, 지역 특성에 따라 추가가 붙습니다.
- 2차 지급은 소득 하위 90%를 대상으로 하며, 1인당 추가로 10만 원이 더해집니다.
- 총 수령액은 지역 구분에 따라 최대 55만 원까지 가능하며, 건강보험료 기준의 분류에 따라 차상위나 수급자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사용처는 카드 가맹점, 지역화폐 가맹점 등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현금처럼 사용하는 지류형 상품권은 일부 제약이 있습니다.
사용 기한 및 이용 팁
- 사용 기한은 2025년 11월 30일(일)까지이며, 기한 종료 시 잔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 카드/앱은 일반 가맹점에서, 지역화폐는 해당 시군구 내 가맹점에서, 지류형 상품권은 현금처럼 사용하되 일부 업종 제한이 있습니다.
- 신청 방법과 수령 수단을 미리 정하고, 신청 첫날을 놓치지 않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차만 신청하면 2차도 자동으로 받나요?
아니요. 2차는 별도 신청이 필요하며, 9월 22일 이후 재신청해야 합니다.
지급은 언제 되나요?
카드/앱 신청은 다음 날 충전, 선불카드는 현장 수령 또는 지정일 수령이 일반적입니다.
미성년자도 신청 가능한가요?
법적 대리인 명의로 신청 가능하며, 세대 구성원으로 포함되면 자동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사용처에 제한이 있나요?
카드 사용은 일부 업종에서 제한이 있으며, 지역화폐는 해당 시군구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